본문 바로가기

코테이토/기블스 4기

좋은 프로덕트 전략을 위한 고찰

Cotato.kr 프로젝트를 1년 반 정도 진행해 오면서, 최근에는 새로운 방향성으로 나아가기 위해 기초 틀을 잡고 있다. 그러다 보니 앞으로의 계획과 전략에 대한 고민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데, 그러던 중 현업 PM이 작성한 글을 읽게 되었다. 글을 읽으며 프로덕트 전략이 조직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중요한 과정이라는 점을 깨달았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하고, 느낀점을 적어보려고 한다.

 

프로덕트 전략이란?

모든 기업은 비즈니스 전략, 즉 사업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 필요하다. 따라서 프로덕트 전략은 단순히 기능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이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설정하고, 접근 방법을 제시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전략이 명확해지면, 조직 내 모든 팀이 같은 흐름 속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더 나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경험 중심 전략 프레임워크

우아한형제들의 프로덕트전략팀에서는 '경험 중심 전략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전략을 수립한다고 한다. 이 프레임워크는 먼저 상황을 분석하고, 핵심 문제를 정의한 뒤, 방향성을 구체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각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배경/목적 정의
    - 전략이 필요한 이유(배경 파악)
    - 연관된 고객 파악
  2. 분석 (WHY) - 내외부 현황 검토
    - 필요한 자료 및 분석 방법 선정
    - 정량적 데이터와 정성적 데이터를 올바르게 분석

    - 고객의 행동과 반응을 파악해 핵심 문제 찾기
  3. 문제 도출 및 기회 발굴
    - 앞선 분석을 바탕으로 주요 문제/기회를 명확히 정의
    - 우선순위 판단
  4. 목표 전략 도출
    - 문제 해결을 위한 목표를 설정
    - 목표 달성을 위한 방향성 구체화 

    - 어떤 접근이 필요한지에 집중 (기능 나열X)
  5. 세부 방향 정리/전달
    : 구성원들의 이해와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전략을 효과적으로 전달

이 과정은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바뀔 수 있다. 핵심은 제품이 나아가야 할 큰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며, 그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어떤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지, 왜 해결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를 명확히 정의하는 것이다.

 

좋은 프로덕트 전략이란

  • 실행 가능하고,
  • 제품이 나아갈 방향을 뚜렷하게 제시하며,
  • 변화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전략이 뚜렷할수록 조직이 같은 목표를 향해 움직일 수 있으며, 어려운 선택을 실행 가능한 계획으로 전환하는 데 도움을 준다.

 

느낀점

글을 읽으면서 프로덕트 전략이란 결국 전체적인 방향성을 설정하는 과정이라는 점이 인상 깊었다. 앞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단순히 “어떤 기능을 추가할까?”가 아니라 “이 기능이 우리의 목표와 어떻게 연결되는가?”를 고민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이번 분기 회고 후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정할 때, 경험 중심 전략 프레임워크를 참고해 전략적으로 접근해 보고 싶다.

 

.

아래는 원문 링크이다. 경험 중심 전략 프레임워크의 구체적인 예시가 있으니 참고해보면 좋을 것 같다.

 

프로덕트 전략,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 우아한형제들 기술블로그

"이 방향이 맞을까?" 연말, 연초가 되면 많은 PM과 리더들은 내년도 로드맵과 서비스 방향성을 고민하며 이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집니다. 무엇을 우선순위에 두어야 할지, 어떤 문제를 해결해야

techblog.woowahan.com

 

'코테이토 > 기블스 4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테이토 활동 회고록 (2023.09.08 - 2025.02.21)  (0) 2025.03.04
5TH COKATHON 회고록  (0) 2025.02.02
26,,😇  (0)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