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테이토/기블스 4기

(4)
코테이토 활동 회고록 (2023.09.08 - 2025.02.21) 코테이토 8기로 시작해 9기를 거쳐 10기까지, 장장 1년 반 동안의 코테이토 활동이 끝났다.찰나의 선택으로 들어오게 된 동아리였는데, 뜻밖에도 너무 값진 경험을 쌓았고, 좋은 사람들을 만났다. Cotato란Cotato는 'Coding Potato'의 약자로, 코딩하는 감자들이 모인 동아리다. 한때 "난 그냥 말하는 감자인데..."라는 슬픈 고학년들의 밈이 네이밍의 시작이었다고 한다. 이 슬로건을 바탕으로, 각 학교의 컴퓨터공학과 3-4학년들이 모여 '프로젝트도 해보고, 스터디도 하며 성장해보자!' 라는 취지로 운영되고 있다.  지원 계기나는 컴공생치고 꽤 이른 시기에 개발에 흥미를 잃고, 다른 직무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소프트웨어 공학 수업을 들으며 프로젝트 매니저라는 직무를 알게 되었지..
좋은 프로덕트 전략을 위한 고찰 Cotato.kr 프로젝트를 1년 반 정도 진행해 오면서, 최근에는 새로운 방향성으로 나아가기 위해 기초 틀을 잡고 있다. 그러다 보니 앞으로의 계획과 전략에 대한 고민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데, 그러던 중 현업 PM이 작성한 글을 읽게 되었다. 글을 읽으며 프로덕트 전략이 조직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중요한 과정이라는 점을 깨달았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하고, 느낀점을 적어보려고 한다. 프로덕트 전략이란?모든 기업은 비즈니스 전략, 즉 사업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 필요하다. 따라서 프로덕트 전략은 단순히 기능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이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설정하고, 접근 방법을 제시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이렇게 전략이 명확해지면, 조직 내 ..
5TH COKATHON 회고록 코테이토에서는 기수별로 한 번씩 무박 2일 해커톤이 진행된다. 이번에 5번째 해커톤이 1월 17일에 진행되었고, 이번 글에서는 프로젝트 회고록을 작성하고자 한다.  주제이번 해커톤의 주제는 자기계발 및 감정이었다. 우리 조는 처음부터 자기계발에 초점을 맞췄다. 감정을 주제로 잡으면 기존의 감정 기록 서비스와 비슷한 결의 주제가 나올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대중교통 이용 시 발생하는 자투리 시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를 기획했다. 사용자가 출발역과 도착역을 입력하면 이동 시간을 계산해서 그 시간 동안 할 수 있는 활동을 추천해주는 것이었는데, 구체화할수록 아이디어가 약한 느낌이 들었다. 우선 자투리 시간을 정확히 구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해커톤에서는 2호선 라인만 고려하자고 ..
26,,😇 6개월 만에 돌아온 기블스..! 이번 기수의 첫 주제는 올해의 목표와 다짐이다.  올해의 목표졸업을 앞둔 지금, 가장 큰 목표로 두고 있는 일은 취업을 위한 기반 다지기이다. 단기적으로는 자격증 공부와 포트폴리오 작성, 장기적으로는 인턴 경험과 취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6개월 전 첫 글을 쓸 때까지만 해도 내 직무에 대해 고민이 많았지만, 이제는 기획자로 확고해졌다. 학교에서 스타트업 연계 활동으로 3개월간 UX 기획 인턴을 경험했고, 동아리에서는 기획 파트장 역할을 맡아 네트워킹 활동을 주도했다. 또 기존 프로젝트에서도 PM으로 꾸준히 참여하면서 기획 업무가 나와 잘 맞는다는 것을 느꼈다. 이런 경험들이 쌓이면서 앞으로도 관련된 일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다른 사람들에 비해 진로를 결정하는..